Home
home
About Us
home

리에이블, SNEC 2025에서 ‘컬러 BIPV’로 시선을 사로잡다

지난 6월, 리에이블(Reable)이 세계 최대 규모의 태양광 전문 전시회 2025 SNEC PV POWER EXPO (Smart Energy Exhibition & Conference) 에 참석했습니다. 올해 전시에서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BIPV),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빌딩, 친환경 건축 솔루션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며 리에이블의 컬러 BIPV 솔루션이 현장에서도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번 전시회에서 리에이블 Reable은 국내외 유수의 파트너사들(AGK, AGC, MERC, CCW)과 함께 컬러 BIPV(건물 일체형 태양광)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소개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아직 BIPV가 낯설게 느껴지시는 분들을 위해 태양광 발전 시스템 종류에 관해 간단히 소개하고, 리에이블의 최고 효율 컬러 BIPV가 가진 강점과 현장 반응까지 살펴보려 합니다. 함께 확인해 보실까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BIPV란?

태양광 설비는 그 설치 방식 및 건축물과의 통합 수준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요. BIPV와 함께 어떤 시스템들이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PV (Photovoltaic_일반 태양광 시스템)

가장 널리 알려진 방식으로 건물의 옥상이나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해 태양광을 활용하며,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설치가 비교적 간단하지만 건축물과 분리된 구조라 누수나 강풍에 취약하고 공간 활용 측면에서도 제약이 따릅니다.

BAPV (건물 부착형 태양광 시스템_Building Attached Photovoltaic)

건물의 외장재 위에 태양광 패널을 별도로 부착하는 방식입니다. 이중 시공에 따른 비용 부담이 크며, 일반 PV보다 설치 위치의 자유도는 다소 높지만 여전히 건물과의 구조적 통합성이 낮고, 외관 디자인과의 이질감, 설치 공간 확보의 어려움 등의 한계가 있습니다.

BIPV (건물 일체형 태양광 시스템_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BIPV는 말 그대로 건축 자재 자체에 태양광 기능이 포함된 건축 일체형 솔루션입니다. 외장재이자 전력 생산을 넘어 기계적·구조적 안전성 확보는 물론, 기후 요소에 대한 보호 성능, 외관과 조화를 이루는 심미성, 발전 효율까지 모두 갖춰야 하죠.
특히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의무화와 맞물려, BIPV는 이제 탄소중립 실현과 도시 미관까지 고려한 ‘생활 속 공공재’로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서울특별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이 2025년에 개정되면서, 태양광 설비 설계 시 PV 용량을 최대로 하되 부족한 용량을 BIPV와 BAPV 순으로 보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시경관과 건축물의 미관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색상과 디자인을 선정해야 한다고 명시되고 있어, 실제 설계 단계에서 심미성을 해치는 태양광 패널은 허가가 어려워지는 상황입니다.
 개정된 기준의 세부 내용은 아래 첨부 파일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20205년 서울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개정.hwpx
130.2 KB

리에이블의 컬러 BIPV란?

리에이블의 컬러 BIPV는 단순한 태양광 모듈이 아닙니다. 건물 외장재로 사용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솔루션으로, 디자인과 기능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솔루션인데요.
기존 태양광 모듈은 건축 디자인과의 조화가 어렵고 시각적 제약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리에이블의 컬러 BIPV미관·효율·기능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고, 국내 생산 시스템을 통해 품질과 납기, 신뢰성까지 확보했습니다. 말 그대로, 눈에 보이는 디자인과 눈에 보이지 않는 효율까지 모두 챙길 수 있는 스마트한 선택이죠.
또한,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인 SAVEe와 연계하면 발전은 물론 에너지 운영 효율까지 높일 수 있어 설계부터 시공, 운영까지 통합된 에너지 솔루션으로 확장됩니다.

현장에서 실제로 가장 궁금해한 내용은?

SNEC 전시회 현장
앞서 PV, BAPV, BIPV의 차이와 리에이블의 컬러 BIPV의 특징을 살펴봤는데요. 이번에는 2025 SNEC 현장에서는 실제로 가장 많았던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을 정리해 봤습니다. 현장의 관심과 궁금증을 통해 리에이블 컬러 BIPV의 강점을 함께 확인해 보세요.
리에이블의 컬러 BIPV

Q. 리에이블의 컬러 BIPV의 강점에는 어떤 점이 있나요?

A. 가장 큰 강점은 단연, 글로벌 수준의 파트너들과 함께 만든 솔루션이라는 점이에요. 우선 100년 전통의 일본 유리 전문 기업 AGC와 협력해 BIPV 설계와 제조 노하우를 직접 공유받고 있고, 국내에서 생산한 제품을 AGC의 글로벌 유통망을 통해 전 세계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럽 최고 수준의 컬러 유리 기술력을 가진 독일 기업과도 공동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해당 기술은 내구성과 발전 효율 면에서 유럽 시장에서 최상위로 평가받고 있어요. 기존 컬러 BIPV보다 최대 27% 더 높은 효율, 그리고 더 선명하고 다양한 색상 표현도 가능하답니다.
결과적으로 리에이블의 컬러 BIPV는 단지 예쁘기만 한 태양광이 아닙니다.건물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전력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디자인 유연성까지 뛰어나죠. 국내 생산이라 품질, 납기, 신뢰성까지 안정적이고요. 디자인과 성능,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솔루션, 바로 리에이블의 컬러 BIPV입니다.

Q. 국내 경쟁사 대비 차별점이 있을까요?

A. 가장 큰 차이는 제품만이 아니라, 전체 프로젝트 흐름을 함께 고려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점이에요. 설계부터 시공,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을 함께 고민하며, 건축 외피에 적용 가능한 범위도 국내 BIPV 기업 중 가장 넓은 편입니다. 특히 발전 효율에서는 경쟁사 대비 최대 20% 이상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고요.
최근에는 Color Solar Glass라는 새로운 제품을 개발해 건축 디자인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어요. 이 제품은 지자체 고유 색상이나 건설사 브랜드 컬러와도 잘 어울릴 수 있도록, 정밀하게 색상을 구현한 게 특징이에요.
(Color Solar Glass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 글에서 더 자세히 소개해 드릴게요 )

Q. 실제 적용 사례나 성과를 공유해주실 수 있나요?

A. 네, 물론이죠. 리에이블의 컬러 BIPV 지금도 다양한 공공기관, 교육시설 등에 실제로 다양한 건물에 적용돼 운영 중이에요. 특히 일부 SunEwat 기반 프로젝트에서는 투자 회수 기간(ROI)이 약 30년 수준으로, 건물 수명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에요.
이건 단순히 발전 수익만이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의무 비율 이행, 친환경 건축 인증(G-SEED, ZEB) 확보, 장기적인 전기요금 절감 효과까지 모두 고려한 결과죠. 경제성과 제도 대응력을 함께 고려한, 꽤 설득력 있는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더 자세한 적용 사례나 수치는 별도 문의 주시면 관련 자료를 보내드릴 수 있습니다.
(자료가 필요하신 분들은 페이지 하단의 ‘카달로그 신청하기’를 이용해주세요!)

BIPV, 이제는 건축 전략입니다

리에이블은 이번 2025 SNEC 전시회에서 실제 건축에 적용 가능한 컬러 BIPV 솔루션을 선보였습니다.
건물 외관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며, ZEB 인증, 친환경 기준 충족, 공공사업 대응까지 고려한 현실적인 에너지 해법으로 주목받았죠. 또한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 SAVEe와 연계하면, 발전을 넘어 에너지 운영 효율까지 높일 수 있어 건축 전 과정에 통합 적용이 가능합니다.
리에이블이 추구하는 건 단순한 기술이 아닌, 고객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솔루션입니다. 에너지 절감, 인증 확보, 건물 가치 향상까지 한 번에 가능한 컬러 BIPV, 지금 리에이블과 함께 시작해보세요.
내 건물 외관에 딱 맞는 컬러 BIPV가 궁금하다면?
더 다양한 정보는 카탈로그를 신청해 확인해 보세요!
 이메일: info@reable.ai
 전화: 070-4066-0596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공유 부탁드립니다!